반응형
서브넷팅이란 하나의 큰 네트워크를 여러 개의 작은 네트워크(서브넷)로 나누는 작업이다.
네트워크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, IP 자원을 절약하기 위해 사용한다.
서브넷팅 계산은 호스트 범위, 네트워크 주소, 브로드캐스트 주소, CIDR, 호스트 수 등을 구하게 된다.
정석적인 계산법은 처음 보면 머리가 아프다..
진짜 쉽게 계산하는 법을 알게 되어서 글로 정리해 본다.
[1] 네트워크 주소, 브로드캐스트 주소, 유효 호스트 범위
- 네트워크 주소: IP가 속한 서브넷의 시작 주소
- 브로드캐스트 주소: 서브넷 안에 있는 모든 호스트에게 한 번에 데이터를 보내기 위한 마지막 IP 주소
- 유효 호스트 범위: 유효하게 쓸 수 있는 IP 주소 범위 (네트워크 주소 +1 ~ 브로드캐스트 주소 -1)
🧮 계산법
- 255.255.255.255 - 서브넷 마스크 = 남은 값 계산
- 남은 값 = 블록 크기 확인 (ex. 0.0.0.15 -> 블록 크기 16)
- IP의 해당 옥텟을 블록 크기로 나누기 -> 몇 번째 블록인지 확인
- 해당 블록의 시작 숫자가 네트워크 주소, 마지막 숫자가 브로드캐스트 주소
- 해당 범위에서 네트워크 주소, 브로드캐스트 주소를 제외한 범위가 유효 호스트 범위
✏️ 예시 문제 풀이
1. IP 주소 192.168.1.45와 서브넷 마스크 255.255.255.0인 상황
더보기
- 255.255.255.255 - 255.255.255.0 = 0.0.0.255
- 블록 크기는 256
- 첫 번째 블록 범위는 0 ~ 255 / IP 주소의 마지막 자리가 45이므로 첫 번째 블록 범위에 속함
- 네트워크 주소는 192.168.1.0, 브로드캐스트 주소는 192.168.1.255
- 유효 호스트 범위는 192.168.1.1 ~ 192.168.1.254
2. IP 주소 10.0.0.200와 서브넷 마스크 255.255.254.0가 주어졌을 때, 이 IP가 속한 네트워크 주소를 구하시오.
더보기
- 255.255.255.255 - 255.255.254.0 = 0.0.1.255
- 단위는 0.0.2.0
- 블록 범위는 0.0.0.0 ~ 0.0.1.255, 0.0.2.0 ~ 0.0.3.255, ..., 10.0.0.0 ~ 10.0.1.255
- IP가 10.0.0.0 ~ 10.0.1.255 범위에 속하므로 네트워크 주소는 10.0.0.0, 브로드캐스트 주소는 10.0.1.255
- 유효 호스트 범위는 10.0.0.1 ~ 10.0.1.254
[2] CIDR
- 서브넷 마스크의 1의 개수로 나타낸 것
CIDR의 경우는 정석적인 방법으로 계산해도 큰 차이는 없다.
나는 이 방법이 더 빨라서 편하다고 생각할 뿐, 같은 방식이기에 본인이 편한 방법대로 계산하면 된다.
🧮 계산법
- 255.255.255.255 - 서브넷 마스크 계산
- 그 결과를 이진수로 변환
- 1의 개수 세기
- CIDR = 32 - 1의 개수
- 32에서 빼는 이유는 IPv4 주소가 32비트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.
✏️ 예시 문제 풀이
1. IP 주소 192.168.1.1와 서브넷 마스크 255.255.255.128를 CIDR 표기법으로 나타내시오.
더보기
- 255.255.255.255 - 255.255.255.128 = 0.0.0.127
- 127을 이진수로 변환하면 1111111
- 1이 7개이므로 32 - 7 = 25
- 192.168.1.1/25
[3] 호스트 수
- 사용할 수 있는 실제 IP 개수
- 2ⁿ - 2 (n은 호스트 비트 수)
🧮 계산법
- 255.255.255.255 - 서브넷 마스크 계산
- 이진수로 변환 → 1의 개수 세기 → 호스트 비트 수
- 호스트 수 = 2^(호스트 비트 수) - 2
✏️ 예시 문제 풀이
1. IP 주소 192.168.100.200와 서브넷 마스크 255.255.255.192가 주어졌을 때, 이 네트워크에서 사용할 수 있는 유효 호스트 수를 구하시오.
더보기
- 255.255.255.255 - 255.255.255.192 = 63
- 63을 이진수로 변환하면 111111 (1이 6개)
- 2^6 - 2 = 62
[4] 서브넷팅 요약표
참고용으로 요약표를 정리해 봤다.
아래 표를 보고 왜 저 숫자가 들어가는지 생각해 보자.
CIDR 표기 (/n) | 서브넷 마스크 | 블록 크기 (IP 개수) | 유효 호스트 수 (2ⁿ-2) |
/30 | 255.255.255.252 | 4 | 2 |
/29 | 255.255.255.248 | 8 | 6 |
/28 | 255.255.255.240 | 16 | 14 |
/27 | 255.255.255.224 | 32 | 30 |
/26 | 255.255.255.192 | 64 | 62 |
/25 | 255.255.255.128 | 128 | 126 |
/24 | 255.255.255.0 | 256 | 254 |
/23 | 255.255.254.0 | 512 | 510 |
/22 | 255.255.252.0 | 1024 | 1022 |
/21 | 255.255.248.0 | 2048 | 2046 |
/20 | 255.255.240.0 | 4096 | 4094 |
[5] 연습 문제
정처기 실기 공부할 때 챗지피티로 만든 문제지 공유합니다.
공부할 때 한 번 풀어보세요~
이 방법으로 다 풀려요!!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