코딩을 공부한다면 깃허브 사용은 필수이다. 나는 오늘 아침도 기억이 잘 안나는 사람이기 때문에 내 식대로 정리하고 리포지토리 새로 생성할 때마다 따라 하려고 한다...^^ 참고로 이번 편에서는 개인이 공부한 코드를 업로드하기 위한 용도이므로 브랜치는 생성하지 않을 것이다. 나는 아직 협업에서 깃허브를 사용해본 적이 없지만 협업할 때 보통 브랜치를 따서 사용한다고 한다.
가입 및 설치는 완료가 된 상태이고, 리포지토리 생성 및 로컬 저장소와 연결, 코드 업로드 과정만 설명한 글이다.
Repository 생성
Respositories > New를 누르면 다음과 같은 창이 나온다.
Repository name칸에 리포지토리 이름을 작성하고 'Add a README file'을 체크한다.
Create repository를 누르면 저장소가 생성된다.
로컬 저장소와 깃 저장소 연결하기
자신이 원하는 폴더에 들어가서 우클릭을 한다.
'Git Bash Here'을 누르면 이러한 창이 뜬다.
git clone https://github.com/allkong/LeetCode.git
'git clone https://github.com/username.repositoryname.git'을 입력하면 리포지토리 이름으로 된 폴더 안에 위와 같이 생성된다.
참고로 리포지토리 링크는 위와 같은 화면에서 복사할 수 도 있다.
git bash에서는 Ctrl+v 사용이 안되고 우클릭을 하여 붙여넣기를 할 수 있다.
코드 업로드
git add . (전부를 업로드할 때는 . / 특정 파일을 업로드할 때는 git add test.py)
git commit -m "message"
git push
순으로 입력하면 깃허브 리포지토리에 파일이 업로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업로드 과정에서 문제가 생겼다면 git status를 입력하여 무슨 문제인지 확인해보고 구글링을 통해 문제를 해결한다.
'DevOps > Gi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Git] Repository 미러링 (저장소 커밋 포함 복사) (1) | 2025.01.19 |
---|---|
[LeetHub] 릿코드 풀이 깃허브에 자동 업로드하기 (0) | 2022.02.1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