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Python] 백준/BOJ 10425번: 피보나치 인버스 (Silver 2)
·
Algorithm/백준 (BOJ)
💻 Problem문제 보러 가기 피보나치 수는 수학에서 위의 점화식으로 정의되는 수열이다. 피보나치 수는 0과 1로 시작하며, 다음 피보나치 수는 바로 앞의 두 피보나치 수의 합이 된다. n = 0, 1,...에 해당하는 피보나치 수는 0, 1, 1, 2, 3, 5, 8, 13, 21, 34, 55, 89, 144, 233, 377, 610, 987, 1597, 2584, 4181, 6765, 10946… 이다. 프로그래밍 실습에서 문제 중 n을 입력받았을 때 Fn의 값을 출력하는 문제가 자주 등장한다. 실습을 하고 있던 희원이는 문득 이 문제가 너무 쉽다고 생각했다. 희원이는 실습 도중 반대로 Fn이 주어졌을 때 n을 출력하는 문제는 어떨지 궁금했다.  피보나치 수 Fn이 주어졌을 때 n을 출력하는 ..
[Python] 백준/BOJ 15810번: 풍선 공장 (Silver 2)
·
Algorithm/백준 (BOJ)
💻 Problem문제 보러 가기 전북대학교 프로그래밍 경진 대회에서는 ACM-ICPC 스타일을 따라 문제를 해결한 팀에게 그 문제에 해당하는 풍선을 달아준다.풍선을 담당하는 N명의 스태프가 있다. 스태프마다 폐활량이 다르기 때문에 하나의 풍선을 만드는 데 걸리는 시간은 다양하다.대회가 시작되고 운영진으로부터 M개의 풍선을 만들어 달라는 의뢰가 들어왔다!각 스태프가 풍선 하나를 만드는 시간(분) Ai를 알고 있을 때, 풍선 M개를 만들기 위해서 최소 몇 분이 걸릴까?풍선을 만든 후에 문제를 표시할 것이기 때문에 풍선의 종류는 상관이 없다.모든 스태프는 풍선을 만드는 데에 정확하게 자신이 말한 시간만큼 걸린다. 예를 들어 스태프 A가 풍선 하나를 만드는 데 5분이 걸린다면, 0분에 만들기 시작해서 5분에 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