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    
    
    
  표를 만들 때는 테이블 태그를 사용한다.
| 태그 | 설명 | 
| table | 표 삽입 | 
| tr | 표에 행(table row) 삽입 | 
| th | 표의 제목 셀(table heading) 생성 | 
| td | 표의 일반 셀(table data) 생성 | 

<!DOCTYPE html>
<html>
<head>
    <title>HTML List Basic Page</title>
</head>
<body>
    <table border="1">
        <thead>
            <tr>
                <th></th>
                <th>월</th>
                <th>화</th>
                <th>수</th>
                <th>목</th>
                <th>금</th>
            </tr>
        </thead>
        <tbody>
            <tr>
                <td>1교시</td>
                <td>영어</td>
                <td>국어</td>
                <td>과학</td>
                <td>미술</td>
                <td>기술</td>
            </tr>
            <tr>
                <td>2교시</td>
                <td>도덕</td>
                <td>체육</td>
                <td>영어</td>
                <td>수학</td>
                <td>사회</td>
            </tr>
        </tbody>
    </table>
</body>
</html>테이블 태그의 속성
th와 td에 colspan과 rowspan 속성을 사용하여 표에서 셀이 차지하는 영역을 조절할 수 있다.
| 태그 | 속성 | 설명 | 
| table | border | 표의 테두리 두께 지정 | 
| td, th | colspan | 셀의 너비 지정 | 
| rowspan | 셀의 높이 지정 | 

<!DOCTYPE html>
<html>
<head>
    <title>HTML List Basic Page</title>
</head>
<body>
    <table border="1">
        <tr>
            <th colspan="2">지역별 홍차</th>
        </tr>
        <tr>
            <th rowspan="3">중국</th>
            <td>정산소종</td>
        </tr>
        <tr><td>기문</td></tr>
        <tr><td>운남</td></tr>
        <tr>
            <th rowspan="4">인도 및 스리랑카</th>
            <td>아삼</td>
        </tr>
        <tr><td>실론</td></tr>
        <tr><td>다질링</td></tr>
        <tr><td>닐기리</td></tr>
    </table>
</body>    
</html>중국, 정산소종은 둘 다 두 번째 행이다. 그래서 같은 tr 태그 안에 있는 것이다.
인도 및 스리랑카, 아삼도 마찬가지로 둘 다 다섯 번째 행이기 때문에 같은 tr 태그 안에 있다.
[참고] HTML5 웹 프로그래밍 입문(3판)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