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💻 Problem
N개의 자연수와 자연수 M이 주어졌을 때, 아래 조건을 만족하는 길이가 M인 수열을 모두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- N개의 자연수 중에서 M개를 고른 수열
- 같은 수를 여러 번 골라도 된다.
- 고른 수열은 비내림차순이어야 한다.
- 길이가 K인 수열 A가 A1 ≤ A2 ≤ ... ≤ AK-1 ≤ AK를 만족하면, 비내림차순이라고 한다.
💡 Approach
중복 조 코드를 기반으로 해서 이전값(prev)을 기록하는 변수를 추가했다.
이전 값을 기록해서 이전값과 같은 숫자를 또 선택하지 못하게 막았다.
예를 들어, N=4, M=2, num=[1, 2, 3, 3]인 상황을 살펴보자.
(1, 1)를 뽑은 후에 두 번째 자리의 숫자를 교체하려고 할 것이다.
교체하게 되면 (1, 2)가 되고, 한 번 더 교체하면 (1, 3)이 된다.
원소가 4개이므로 한 번 더 교체하려고 할 텐데, 여기서 prev가 없다면 3(index 2)에서 3(index 3)으로 교체하게 된다.
그래서 같은 값은 (1, 3)으로 교체될 것이다.
이런 일을 막기 위해 prev=3(index 2)을 기록해 놓으면 3(index 3)으로 교체하려고 할 때, prev와 같은 값이니 교체하지 않도록 막는다.
✏️ Solution
import sys
input = sys.stdin.readline
def dfs(start, depth):
if depth == M:
print(*path)
return
prev = None
for i in range(start, N):
if num[i] != prev:
prev = num[i]
path[depth] = num[i]
dfs(i, depth + 1)
N, M = map(int, input().split())
num = sorted(map(int, input().split()))
selected = [False] * (N + 1)
path = [0] * M
dfs(0, 0)
반응형
'Algorithm > 백준 (BOJ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Python] 백준/BOJ 14626번: ISBN (Bronze 1) (5) | 2025.08.17 |
---|---|
백준/BOJ: N과 M 문제 모음 (순열/조합 정리) (0) | 2025.08.16 |
[Python] 백준/BOJ 15665번: N과 M (11) (Silver 2) (0) | 2025.08.16 |
[Python] 백준/BOJ 15664번: N과 M (10) (Silver 2) (0) | 2025.08.16 |